망막전막증 어떤 질병인가요?(+수술, 증상, 후기, 시력, 수술비용, 후기)

작성일 25.06.10
안녕하세요. 명랑입니다.
계속 글들이 흐릿하게 보이고
물체가 변형되어 보이며
눈이 계속 아파 안과를 다녀왔는데요.
병원에서 시력검신, 안압, CT촬영 결과
망막전막으로 인해
대학병원에서 정밀진단을 받으라는
소견을 받게 되었습니다.
놀란마음을 다독이며
도대체 망막전막은 어떤 질환인지
그리고 치료방법은 어떤게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해요.
아프지 않아야 하지만
아프게 된다면
많은분들이 슬기롭게
극복하기 하기를 바라면서
망막전막이 궁금하신분들이라면

망막전막, 어떤 질환인가요?

망막은 안구 뒤쪽에 위치해 있는
조직으로 시신경 세포들로
이루어진 얇은 막을 뜻해요.
외부에서 전달받은 시각 신호를
뇌로 전달해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친구인데요.
망박전막은 망막 표면
그 중심부인 황반에 증식막이 생겨
시축을 가리거다 상을 왜곡하게
만들어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발생하는 비율은
50대 이후, 남자보다는 여자가
나이가 들수록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한다고 해요.
그러나 간혹 저처럼
어린(?)나이에도 찾아올 수 있다는 점을
인지 하시고 너무 눈을 혹사시키면
안되세요!
망막전막 증상은?

망막전막은 초기에는
잘 인지하지 못하다가
증상이 꽤 진행하게되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고, 시력이 저하되며
상이 왜곡되어 보이면서
눈에 이상이 있음 인지하게 됩니다.
간혹 날파리증이나
광시증을 호소하는 분들으 계시고
심한 경우 황반부종이나 망막 출혈이
생기기도 한다고 해요.

망막전막은 정도나
망막전막이 생긴 위치에 따라서
증상은 달라질수 있지만
주로 시야가 흐려짐을 시작으로
사물도 휘어져 보이고
물체가 이중으로 겹쳐보이기도 하고
물체가 크게 보이거나 복시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망막전막,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망막전막은 약물로
치료되는게 아닌 치료방법은
오직 수술밖에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바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환자의 눈상태와 경과를 살펴보고
시력저하가 6개월 기준 0.4 이하로
시력이 저하되거나
왜곡 현상, 황반 부종등
종합적인 결과를 토대로
치료 시기를 결정한다고 해요.
망막전막은 망막주변에
있는 막을 걷어내는 작업이기때문에
얼마만큼 걷어낼지는
결정하는 의사분의 실력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수술이라고 하는데요.
수술은 보통 1시간~2시간 정도
바로 퇴원이 불가능해 하루 정도
입원을 해야 할 수 있다고 해요.
수술 후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력 회복인데요.
망막전막 수술은
더 나빠지는 방지하는 수술이기에
시력이 이전처럼
좋아지고 하는 경우가
더딜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수술 전
의사분과 충분히 검토 후에
수술을 결정하시면 좋을거 같아요.
저는 이번주
대학병원가서 종합적으로
검사를 하게 되는데요.
대학병원에서 어떻게
검사를 하고 어떤 결과를 받게 될지
다음 글에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을 읽는
모든분들이 건강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